인생 2막 열어갈 충분한 준비 되어 있나

▲ 윤정혜 경제사회부 부장
▲ 윤정혜 경제사회부 부장




“지게차 면허를 한번 따볼까해요.”

대구의 한 금융공기업 직원이 얼마 전 속내를 털었다. 이른바 '신의 직장'에 다니지만 퇴직을 앞두곤 고민이 이만저만 아니다.

중장비 운전면허를 따기 위해 관련 교육기관도 알아봤는데 코로나19에 현장 수업이 줄어 이마저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 다른 금융권 인사는 타일 기술을 배우려고 한동안 노력했다. 하지만 타일 기공사 자격을 얻는다 해도 현장에서 뛰기 쉽지 않은 현실을 마주하고는 포기했다.

현장에 투입되기까진 2인1조로 사수와 함께 일정 기간 일을 배우는 시간이 필요한데, 퇴직 후 예순을 넘긴 그를 조수로 삼을 사람이 없을 것이란 이야기다.

며칠 전엔 정년퇴직을 하고 한동안 ‘백수’ 생활을 하던 지인의 재취업 소식을 들었다.

공기업에 몸담았던 그는 퇴직 후 2년간 출근하듯 동네 도서관에 다녔다. 그냥 시간 떼우기로 생각했는데, 전기 기사 자격증을 천신만고 끝에 따낸 것이다. 결국 아파트 관리사무소에 취업했다는 기쁜 소식을 들려줬다.

인생 2막을 여는 게 쉽지 않다.

새해와 함께 금융권을 중심으로 명예퇴직, 희망퇴직, 감원, 인력구조조정 뉴스가 끊임없이 쏟아지고 있다.

감원 칼바람은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 속에 힘이 더 세지고 있다. 사회 곳곳의 비대면 전환이 우리가 느끼는 것보다 더 빠르고 강하게 진행될 것이라는 두려움도 커진다.

코로나19로 빨라진 비대면 일상은 은퇴 시계 또한 당겨놓고 있다.

금융권만 예로 들어도 그렇다.

과거 은행 창구에서 처리할 많은 일들이 이제는 시간이나 장소의 구애 없이 손안의 핸드폰에서 쉽게 할 수 있다. 대기표를 뽑고 기다리거나 은행 직원을 마주할 필요도 없게 됐다.

그 사이 점포수는 눈에 띄게 줄었고, 앞으로 더 줄어들 게 틀림없다. 일자리가 줄어드는 건 당연한 수순이다. 대구은행만 봐도 작년 상하반기 두차례에 걸쳐 명예퇴직 희망자를 받았다. 대구은행은 최근 4년 동안 대구경북 30여 개 점포를 없앴다.

은행을 단순 예로 들긴 했지만 사회 곳곳의 변화는 생각보다 더 빠르다.

누구에게나 예고 없이 닥칠 일이 될 수 있다는 걱정이 앞선다.

몇 해 전 등장한 희망이라는 이름의 퇴직제도 역시 이제는 연례행사와 같이 정착이 됐다.

대상자가 80년대생까지 낮아졌다.

100세 시대가 현실이 된 지금 40세에 퇴직을 재촉하는 현실은 충격적이다. 그래도 ‘희망퇴직’이라는 보상을 받게 되는 대상자들은 우리 사회에서 형편이 나은 사람들이다.

NH농협은행은 작년 1980년생부터 희망퇴직 대상자에게 최대 39개월치 월평균 임금을 위로금으로 쥐어줬다. 만 56세 직원이 퇴직할 때는 월평균 임금 28개월치와 전직 지원금으로 4천만 원, 농산물 상품권 1천만 원이 추가됐다.

KB금융 역시 임금피크제로 전환되는 1965년생에게 월 평균 임금의 최대 28.5개월치를, 일반직원과 전문직원에게는 35개월치를 지급한다는 소식을 얼마 전 밝혔다. 재취업을 위한 지원금도 최대 3천400만 원으로 책정했다.

재취업을 위한 비용이 제공되고, 공로연수와 같은 시간도 주어진다.

그렇다해도 빨라진 은퇴시계에 당황하긴 마찬가지다. 분명한 점은 모두가 금융맨과 같은 처지가 아니라는 것, 준비 없이 인생 2막의 시작점에 내몰리는 사람들이 훨씬 많은 점이다.

그래서 제도의 테두리가 필요하다. 재취업이나 은퇴 후 새 도전을 위한 안전망이 요구되는 이유다.

고용노동부나 중소벤처기업부도 퇴직자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모 기관의 100세시대연구소는 퇴직 전후 3년이 제2의 일자리를 준비해야 하는 골든타임이라 했다. 이 기간 전문 기술을 배우거나 창업 계획을 세워 제2의 인생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다.

누구나 이 골든타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사회적 장치가 필요한 이유기도 하다. 비대면 세상은 생각보다 빠르고 넓게 퍼져있다. 당장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설 명절마저 우리는 핸드폰을 켜고 세배를 드려야 하니 말이다.













윤정혜 기자 yun@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