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재윤 교수.
▲ 안재윤 교수.












최근 낮 기온이 10℃ 이상 오르면서 봄기운이 물씬 느껴지고 있다.

하지만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급격히 낮아지는 일교차가 심한 날씨를 보이는 만큼 건강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일교차가 커지는 시기에는 특히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면역을 높일 수 있다.

◆저체온증…중심 체온이 35℃↓

우리 몸은 어느 정도 추위에 노출되더라도 근육의 떨림, 혈관 수축과 같은 체내 작용으로 정상 중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추운 외부 환경에 오래 노출되거나 질환이나 약물 등으로 인해 신체의 체온 조절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저체온증이 발생한다.

심정지 환자 등에서 신경학적 예후 개선을 위해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하는 저체온 요법과 구별하기 위해 예기치 않은 노출 때문에 발생하는 저체온증을 우발성 저체온증이라 한다.

우발성 저체온증은 추운 환경에 노출돼 발생하는 ‘일차성 저체온증’과 환경적인 영향 없이 체온 조절 기능에 영향을 주는 질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저체온증’으로 나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저체온증은 대부분 일차성 저체온증에 해당한다.

저체온증은 중심 체온이 35℃ 미만인 경우이며 식도나 직장 부위를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가정에서 주로 사용하는 적외선 고막 체온계나 구강, 겨드랑이를 통해 측정하는 체온계는 중심 체온을 정확하게 반영하지는 못한다.

가정에서 측정한 체온이 35.5℃ 이상 상승하지 않거나, 기기에서 가장 낮은 수치의 체온을 나타낼 때는 정확한 검사를 위해 응급실을 찾아야 한다.



체온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몸이 떨리는 등의 오한 증상이 먼저 발생한다.

이는 체온을 올리기 위한 몸의 반응으로 초기 체온을 올리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증상은 진통제나 진정제를 복용 중이면 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중심 체온이 31℃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사라진다.

저체온증 초기에는 혈압이 상승하거나 맥박이 빨라지며 구음 장애, 걸음걸이 이상, 인지력 저하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이후에도 체온이 지속해서 감소하게 되면 의식을 잃게 되며 저혈압, 느린 맥 등이 유발돼 결국 사망에 이르게 된다.





저체온증을 유발하는 주된 요인은 음주와 고령 등이다.

몸을 녹이려고 술을 마시는 경우 알코올의 혈관 확장 작용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따뜻함을 느끼지만, 몸은 열을 더 빨리 잃어 저체온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노인들은 몸을 보호하는 체지방이 부족하고 대사율은 떨어져 저체온증에 쉽게 빠질 수 있다.

특히 홀몸 노인의 경우 집안에서 충분하게 난방을 하지 못하며, 저체온증에 빠지더라도 쉽게 발견되지 못하는 탓에 심각한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신속한 보온 조치가 초기 치료 핵심

저체온증의 치료는 몸을 따뜻하게 하며, 추가로 열을 잃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병원 도착 전 정확한 중심 체온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누군가 몸을 심하게 떨고 있다거나 의식이 명료하지 않다면 일단 저체온증을 의심하고 몸을 보온해 줘야 한다.

외출할 때는 장갑, 모자, 마스크 등을 착용하며 혹시라도 옷이 젖어 있는 경우라면 마른 옷으로 갈아입어야 한다.

옷은 두꺼운 옷을 한 벌 입는 것보다 2~3개의 헐렁한 옷을 겹쳐 있는 것이 보온 효과가 더 좋다.

담요가 있다면 몸을 덮어주고 따뜻한 장소로 빨리 옮겨야 한다.

따뜻한 물을 먹도록 해 탈수를 방지하며, 음식을 통해 열량을 공급하는 것도 저체온증의 예방과 처치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저체온증 환자에서 심 정지가 발생하는 경우 저체온에 의한 뇌의 보호 효과가 생겨 장시간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하는 심각한 상황에서도 뇌 손상 없이 성공적으로 회복한 사례들이 보고되기도 한다.

따라서 따뜻한 곳으로 옮긴 뒤 적극적으로 심폐소생술을 하며 병원으로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신 저체온증 외에 국소 부위에 동상이 동반된다면 37~39℃의 물에 20~30분 담가 부위가 말랑말랑해지고 홍조를 보일 때까지 녹이도록 한다.

너무 온도가 낮으면 동상 부위가 잘 녹지 않으며, 너무 높으면 화상의 위험이 커진다.

다만 현장에서 완전한 해동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면 차라리 동상 입은 상태로 병원으로 옮기는 것이 낫다.

불완전하게 치료할 경우 조직이 녹았다가 얼기를 반복하는 데 이 과정에서 추가로 조직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이동률 기자 leedr@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