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많은 고등학교가 4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중간고사를 치른다.

각 학교는 중간고사가 끝난 후 다양한 교내 대회와 행사를 개최한다.

만일 학생부종합전형을 염두에 둔 학생이라면 해당 활동에 활발히 참여해 학교생활기록부(이하 학생부)를 알차게 채워야 한다.

특히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은 코로나19로 인한 학습환경 변화와 교내외 활동의 제약, 학교생활기록부 기재항목 축소 등으로 더욱 전략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실패 없는 학생부종합전형 대비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선택과목 이수는 필수

2015 개정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해 이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때 자신이 선택한 과목을 희망하는 진로, 적성과 결부시킬 수 있어야 한다.

즉 수업을 통해 무엇을 배우고자 하는지, 그것이 전공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보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학생부종합전형에선 과목 이수 현황이 지원자의 전공 적합성을 판단하는 지표가 된다.

때문에 이수자가 적어 좋은 성적을 내기 어려운 과목일지라도 전공과 밀접하다면 이수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세특·행특 중요성 높아져

학생부 기재분량 및 대입 반영 항목 축소, 교사 추천서 및 자기소개서 폐지 등의 변화로 학생부 내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세특)’,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행특)’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두 항목 모두 학생의 수업 태도가 기본이 되기 때문에 수행평가, 발표, 토론, 보고서 등 수업 중에 실시하는 모든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원격수업에서도 성실한 출결과 과제 수행은 필수이다.

단순히 수업을 듣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질문하고 이해하려는 모습을 보인다면 좋은 평가를 기대해볼 만하다.



◆질 높은 전공 적합성 활동 필요

현재 고2 학생들의 경우 수상실적은 학기당 1건만 반영되며, 자율동아리는 연간 1개만 30자 분량으로 기재가 가능하다.

봉사활동 또한 특기사항은 기재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양’이 아닌 ‘질’에 초점을 맞춘 전략적인 활동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수상실적은 전공과 밀접한 대회를 노려 집중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상황이라면 영어 에세이 쓰기 대회, 독서 토론대회 등 어느 전공이든 두루 적용할 수 있는 대회에 참가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동아리의 경우에는 전공과의 접점을 찾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정규동아리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자율동아리라고 하더라도 교과 수업 안에서 탐구할 수 있는 전공 관련 활동을 한다면 좋은 평가를 얻을 수 있다.





◆대입 미반영…안심하면 안 돼

고1 학생이 치르게 될 2024학년도 대입부터는 수상실적, 자율동아리 활동, 독서활동, 개인봉사활동 실적 등도 반영되지 않는다.

하지만 대입에 반영되지 않는다고 해서 이를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서는 절대 안 된다.

독서와 연계된 활동은 ‘창의적 체험활동 상황’ 항목에 기재할 수 있는 만큼 관심 분야에 대한 독서를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대회를 준비하며 최선을 다해 탐구하는 과정 자체도 ‘자기주도적 학습 역량’을 강조하는 요소가 된다.

동아리 또한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전공과 연관성을 찾아 참여한다면 평가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전공 원하는 인재상 만들어야

지원자의 면면을 들여다볼 수 있는 서류가 축소된 만큼 학생부 내에서 주어진 항목만으로 자신의 역량과 전공 적합성을 최대한 드러내는 게 중요하다.

이를 위해 희망하는 전공, 분야가 어떤 학생을 필요로 하는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전공마다 배우는 학문의 영역이 다르듯 원하는 인재상도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경영, 경제, 무역, 글로벌 관련 전공이라면 기본적인 수학 능력 이외에 도전적이고 진취적인 성격, 다양한 사람들과 어울리며 협동할 줄 아는 사회성 등이 요구된다.

이 경우 리더십과 적극적인 태도 등이 학생부에 드러난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게 될 것이다.

이처럼 다양한 학교생활을 통해 전공에 특화된 개성, 모습을 학생부에 담아낸다면 향후 치르게 될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좋은 결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도움말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김종윤 기자 kjyun@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