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수질 오염도 높아 식수에 대한 주민 불신 높아||주민동의 단서 달았지만 대구 취수원

▲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6회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 한정애 환경부 장관이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6회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 회의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가 24일 심의·의결한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은 낙동강 유역은 먹는 물의 본류 의존도가 높은 반면 다른 지역 상수원에 비해 수질 오염도가 비교적 높아 식수에 대한 주민 불신이 높기 때문에 마련된 것이다.

이 때문에 이번 방안의 부제 또한 ‘안전한 먹는 물을 위한 수질개선과 취수원 다변화’다.

지난 30년간 크고 작은 수질오염사고 발생으로 깨끗하고 안전한 먹는 물 확보를 위한 상·하류 지역 간 갈등이 지속돼 왔다.

이런 배경에서 환경부는 낙동강유역 지자체와 상호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하고, 1년6개월간의 연구용역 등을 거쳐 ‘낙동강 통합물관리방안’을 마련했다.

대구와 구미의 취수원 이전 갈등은 2009년부터 시작됐다.

갈등의 씨앗은 1991년 낙동강 페놀 사태다.

대구시는 식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구미공단 위쪽인 낙동강 상류로 취수원을 이전하길 원했지만 구미시는 강하게 반대했다.

취수원 이전 문제는 2018년 대구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검출사태로 다시 불거졌다.

2019년 국무총리실 주재로 정부 부처, 대구시, 울산시, 경북도, 구미시 등이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구시는 물 문제 해결을 위한 3대 원칙으로 상호이해와 배려, 과학적 검증, 합당한 보상 등을 밝혔다.

구미시민의 우려를 감안해 극심한 가뭄 등으로 구미가 사용할 물이 부족할 때는 한 방울의 물도 취수하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대구시가 해평 취수장을 이용할 경우 연간 100억 원 규모의 상생기금을 조성해 해평 등 상수원보호구역 주민들에게 지원하는 안도 내놓았다.

구미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책사업 추진과 대구·구미 간 생활공동체 형성을 위한 협력방안도 제시했으나 구미시민들의 마음을 움직이지 못했다.

그러나 정부가 주민동의를 단서로 달았지만 오는 2028년 구미 해평취수장을 대구 취수원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이전 사업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장세용 구미시장 또한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만큼 정부의 결정을 반박할 논리가 없는 상황이다.

한정애 환경부 장관은 “이번 통합물관리방안 의결로 낙동강 먹는 물 갈등 해결을 위한 단초를 마련하게 됐다”며 “향후 정책 이행단계에서 유역 주민들과 보다 더 소통해 공감을 이끌어 내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주형 기자 leejh@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