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경제를 살릴 능력이 있느냐가 자치단체장 선택의 최우선 기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6월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에서 대구·경북 시도민들은 시도지사를 포함한 후보선택의 기준으로 ‘경제 전문성’을 가장 먼저 꼽았다. 대구일보가 창간 76주년을 맞아 최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다.

시도민들의 34.1%가 경제 전문성이 후보선택 기준이라고 응답했다. 경제 전문성은 청렴성 및 도덕성(23.4%), 행정업무 전문성(16.2%), 소통 능력(12.6%) 등을 크게 앞섰다. 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빈사 상태에 빠진 지역경제의 현실을 반영한 응답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기준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당장 먹고 사는 일이 무엇보다 급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자영업자들은 39.8%가 경제 전문성을 갖춘 후보를 선택하겠다고 응답했다. 코로나 사태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계층의 아픔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다. 가계를 꾸려나가는 주부들은 36.9%, 활동에 큰 제약을 받는 판매·영업·서비스직은 35.7%가 경제 전문성을 최우선 자격으로 생각했다. 18~29세, 30대 등 젊은 층도 35.6%가 같은 응답을 했다. 이들은 어려운 경제현실에 가장 많이 노출된 계층이다.

아직은 뚜렷하지 않지만 7개월여 앞으로 다가온 내년 대통령 선거의 후보선택 기준도 비슷하지 않을까 예상된다. 정권심판론에 더해 경제문제가 대선의 승패를 가를 핵심 기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 장기화로 중소 자영업의 기반은 무너졌다. 이 상태로 조금만 더 가면 파탄이다. 그러나 정치권은 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의 88%에게 준다고 한다. 사실상 전 국민 지급이나 마찬가지다. 재난피해를 입지 않은 상위계층에도 위로금을 준다는 것이다.

중하위 계층이 살기 어렵다고 아우성치는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중산층이나 상위계층에 위로금을 줘 소비진작을 유도한다는 것이 과연 올바른 판단인가. 전 국민 지급은 이미 투자대비 효과가 크게 미흡한 것으로 판명났다. 정말 어려운 사람에게 두텁게 지원해야 한다는 기본 원칙은 찾아볼 수가 없다.

저출산·인구감소, 취업난, 부동산 대란, 세대 간 갈등, 비정규직 갈등, 미래·노후 불안 등 많은 갈등과 걱정이 경제에서 기인한다.

지방선거, 대선 가릴 것 없이 후보자들은 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주력해야 한다. 미래지향적 경제공약을 개발하고 민생을 보듬을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경제가 우리 삶의 본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