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의 야간 운행시간이 짧아 시민들의 불만이 크다. 특히 밤 늦은 시간에는 종점까지 가지 않고 중도에서 승객을 하차시키는 ‘시내버스 중간종료 제도’가 시행돼 문제가 되고 있다. 3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어처구니없는 시스템이다.

대구는 다른 대도시에 비해 시내버스 막차가 일찍 끊긴다. 여기에 더해 중간 운행종료 제도까지 시행되고 있어 자가용이 없는 저소득층 야간 근로자나 아르바이트생들은 밤늦게 퇴근할 경우 부득이 택시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 대구는 시내버스 운행 종료시간도 부산(다음날 오전 0시30분), 인천(다음날 오전 1시) 등 다른 대도시에 비해 1시간~1시간30분 가량 이르다. 심야 이동권을 침해당한다는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대구지역에는 심야에 활동하는 경제 인구가 매년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시민들은 같은 차비를 내고도 다른 도시에 비해 늦은 밤 대중교통 이용에 불편을 겪는 불이익을 강요당하는 셈이다.

현재 대구 시내버스는 매일 오후 11시30분이 되면 운행을 중단하고 차고지로 돌아간다. 전체 117개 노선 중 73%인 85개 노선이 야간 운행 중 중도에 승객을 하차시키는 막차 중간종료 방식으로 운행되고 있다.

시내버스 막차 중간종료는 전국에서 대구에만 있는 납득하기 어려운 제도다. 지난 1990년대 초반 도입된 이 제도는 다수의 버스회사가 한 노선을 공동운행하는 공동배차제에서 비롯됐다. 그러나 지난 2006년 공동배차제가 사라지고 준공영제가 도입됐지만 여전히 남아 시민들을 불편하게 하고 있다. 준공영제 도입의 기본 취지인 공익성이 실종된 상태다.

대구시와 시내버스 업계는 서로 책임전가에 급급한 모양새다. 시내버스 노사 단체협약에는 배차 운행시간을 오전 5시30분부터 오후 11시30분까지로 한다고 규정돼 있다. 운행시간을 오후 11시30분까지 한정한 탓에 중간 종료제도를 해결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노사협약에 개입하기가 쉽지 않다고 발뺌하고 있다. 시내버스 노사는 대구시가 예산을 늘려 운전기사를 많이 뽑으면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이유야 어떻든 시민들의 불편이 있으면 제도는 개선돼야 한다. 야간 일자리를 늘리고 밤이 활기찬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시내버스 운행시간 연장이 필수다.

당장 예산이 문제라면 시민 불편이 많은 몇 개 노선을 선별해 운행연장을 시범 실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 아울러 심야버스 운행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해법 모색을 미뤄선 안된다. 대구시가 나서야 한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