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달 30일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경북형 듀얼 라이프(Dual Life·두 지역 살기) 전략을 제시했다. 듀얼 라이프는 수도권 등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경북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생활 거점을 마련해 두 지역에 순환 거주하는 형태의 삶을 말한다.

도시지역에 주 거주지를 두고 경북에 제2의 거점을 마련해 슬로 라이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완전 이주는 지인들과의 교유 관계, 살고 있는 주택 처분 등 여러 문제가 걸려 있어 한계가 있다. 듀얼 라이프는 이런 점을 감안해 생활의 근거를 절반 정도만 옮기자는 것이다.

이미 대구에서도 은퇴 후 근교에 작은 집을 구해 텃밭을 가꾸며 도시와 농촌을 오가며 생활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제주도 한달살이·반년살이가 유행하는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경북형 듀얼 라이프는 시군별 특성을 살려 추진하게 된다. 실행을 위한 9개 핵심 과제도 제시됐다. 지방소멸 대응기금 등 중앙정부 정책연결, 시군별 듀얼 라이프 브랜드화, 복수 주소제 도입 등이 포함됐다. 빈집 활용 연계, 부동산 분야 기준완화 등도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복수 주소제가 가능해지면 실거주지와 주소지 불일치에 따른 불편이 해소된다. 제2거점 지역은 인구증가와 함께 추가 세수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부동산 분야 지원방안에는 농어촌 및 고향 주택 기준 완화, 별장 기준 명확화, 빈집 또는 농어촌 주택에 대한 취득·재산세 감면 등이 포함된다.

경북도가 지난 4월 전국민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13.3%가 이미 두 지역 살기를 하고 있으며 53.6%는 앞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의 66.9%가 듀얼 라이프에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세컨드 하우스 등을 마련해 4~5일은 주 거주지에 살고 주말에는 제2거점에서 생활하는 형태를 선호했다고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중앙정부의 의지다. 지방살리기 차원에서 적극적인 행정·재정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시군별 내실있는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가는 것도 사업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 요인이다. 지자체 차원에서는 중장년층이 많은 대도시 향우회 등과 유기적으로 협조해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수요를 발굴해 나가야 한다.

듀얼 라이프 정책은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 새로운 시도가 성공하면 지방소멸의 대응책의 하나가 될 것이다. 경북도의 듀얼 라이프 정책이 수도권과 대도시 인구를 지방으로 분산시키고, 국가 균형발전에 앞장설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지국현 기자 jkh8760@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