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의 경북형 사회적 거리두기가 전국에 확대 적용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경북의 코로나 방역 시스템이 잇따라 국가 모델이 되고 있다. 지역의 선진 보건 행정이 코로나 극복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대구·경북의 보건 행정 역량은 이미 국내외에서 주목받아 왔다. 잘 갖춰진 지역 의료 인프라와 행정 역량이 맞물려 시너지 효과를 가져오고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는 단체장의 발 빠른 판단도 한몫했다. 경북도의 유연한 방역 행정이 돋보인다.

다음 달부터 정부의 새 거리두기 개편안이 시행될 예정이다. 여기에는 경북도가 전국 첫 시도한 사회적 거리두기 시범 실시가 모범 답안으로 작용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6일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을 다음달 초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그 배경으로 경북과 전남의 시범 실시 지역 코로나19 확진자 관리 안정화와 소비 증가를 꼽았다.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해제’를 주 내용으로 한 거리두기는 경북도가 지난 4월 전국 처음으로 시작했다. 전남도가 뒤를 이었다. 개편안 원조가 경북인 것이다.

중대본이 군위 등 12개 군에 시범 적용한 결과 인구 10만 명 당 확진자 수는 기존 0.15명에서 0.2명으로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반면 소비 증가율은 평균 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시범 실시 지역은 최근 16개 시·군으로 확대됐다.

경북도의 거리두기 성공은 이철우 도지사의 결단으로 가능했다. 이 지사는 도내 군 지역 식당가가 사적 모임 제한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데 반해 대도시 식당가는 붐비는 것을 보고 일률적인 거리두기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후 중대본 회의 때마다 줄기차게 거리두기 완화를 건의해 ‘경북형 거리두기’가 나왔다고 한다. 유연한 행정이 빛을 발한 것이다.

앞서 지난해 3월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기, 코로나 직격탄을 맞은 대구는 민관이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했다. 최초의 드라이브스루 선별진료소를 만들고 생활치료센터 도입으로 K 방역을 일궈내며 코로나 확산 차단과 방지에 기여했다. 여기에는 지역의 잘 갖춰진 의료 인프라와 민관의 협력 체계가 큰 역할을 했다.

이번 경북도의 사회적 거리두기안의 전국 확대도 단체장의 빠른 판단과 유연한 보건 행정의 덕분이 아닐 수 없다. 코로나19는 아직도 일상을 뒤흔들고 있다. 하지만 백신 후진국 취급을 받던 우리나라가 국민들의 협조로 접종률이 올라가면서 코로나 퇴치 희망이 보인다. 대구·경북의 앞선 의료 체계와 보건 행정이 코로나 퇴치 일등공신이 되길 바란다.



홍석봉 기자 dghong@idaegu.com
저작권자 © 대구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