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구 달성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 문제가 재점화할 모양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추진했다가 시의회 문턱에서 좌초된 사안이지만, 최근 수성구청장 출마 예정자의 발언이 논란에 다시 불씨를 당겼다.
오창균 전 대구경북연구원장은 19일 페이스북을 통해 “행정구역 개편이 필요하다”며 “가창면의 수성구 편입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오 전 원장은 “대구는 달서구 52만 명, 남구 13만 명, 중구 10만 명, 군위군 2만3천 명 등 구·군 간 인구 규모 차이가 지나치게 크다”며 “공간적으로도 일부 지역은 내부 연계성이 약해 주민 불편이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군위군이 대구로 편입된 지금이 행정구역 개편을 공론화할 적기”라며 “가창면은 생활권과 연계성을 고려할 때 수성구로 통합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방향”이라고 말했다. 또 “가창~수성못~들안길로 이어지는 도심형 관광벨트 조성이 가능해지고, 대구시와 수성구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두고 최재훈 달성군수가 즉각 반박하며 양측의 공방이 확산됐다.
최 군수는 SNS 답글을 통해 “가창면이 수성구에 편입돼야 관광벨트가 조성되고 신성장동력이 생긴다는 주장은 현실성이 없다”며 “수성구와 대구시의 재정현황이나 투자여력부터 파악해보라. 선거를 앞두고 무책임하고 현실성 없는 발언은 자제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최 군수는 과거 수성구 편입 논의가 무산됐을 당시에도 “수성구의 40여 개 동 중 하나가 되는 것보다 달성군 9개 면 중 한 면으로 남는 것이 가창면민에게 더 이익”이라며 “재정력이 충분한 달성군에 남는 것이 가창을 위한 길”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오 전 원장도 재차 답글을 통해 “의견 제시에 대한 과도한 반응”이라며 “몇 년 전 가창면 수성구 편입 추진과 관련된 여러 논쟁들, 가창면 내에서의 주민간의 갈등 분란 등을 먼저 파악해달라. 가창면 수성구편입 관련한 무책임한 발언에 대한 제 의견제기일 뿐”이라고 맞섰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행정구역 개편 논의가 다시 쟁점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한편 오 전 원장은 이날 수성구의 대구 명복공원 문제와 관련해서도 “명복공원을 지하화하기보다 도시 외곽에 종합 장사시설을 새로 조성해야 한다”며 “새 시설이 마련되기 전까지는 기존 화장장 운영에 따른 보상을 수성구 주민에게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혜림 기자 lhl@idaegu.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