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소기업·소상공인들이 차기 대구시장에게 가장 먼저 요구한 것은 ‘경제일자리형’ 리더십이었다. 장기화된 경기침체로 경영 부담이 커지면서 지역 경제를 회복시킬 실효적 행정과 현장 중심의 소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절박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4일 중소기업중앙회 대구지역본부가 10월 15~25일 대구지역 소기업·소상공인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차기 대구시장에게 바라는 소기업·소상공인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54.7%가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으로 하는 경제일자리형 시장’을 가장 바람직한 시장상으로 꼽았다. 이어 △민생 애로를 현장에서 청취하는 현장중심형 시장(43.3%) △행정·재정 지원을 안정적으로 추진하는 안정지원형 시장(31.7%) 순이 뒤따랐다.
차기 시장이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로는 금융지원 확대(50.3%)가 지목됐다. △상권 활성화 및 인프라 개선(25.3%)도 뒤를 이으며 지역 경제 기반 회복을 위한 실질적 정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이 같은 요구에는 악화된 경영환경이 자리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5.3%가 전년 대비 경영상황이 악화됐다고 답했으며 ‘개선됐다’는 응답은 9.3%에 불과했다. 경영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경기침체 및 매출 감소(73.7%)가 압도적으로 높았고 △자금조달 어려움(19.0%) △상권 침체 및 유동인구 감소(18.3%)가 뒤따랐다. 지역 상권의 위축과 소비심리 둔화가 기업 생존을 직접 압박하는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구시의 소상공인 지원정책에 대한 체감도 역시 낮았다. 응답 기업의 64.3%가 ‘정책을 활용해 본 적 없다’고 밝혔는데, 이유로는 △정책을 잘 몰라서(49.7%) △복잡한 절차·까다로운 요건(25.9%) △현장과의 괴리(10.4%) 등이 꼽혔다.
소통 방식에서도 변화 요구가 뚜렷했다. 대구시가 향후 강화를 원하는 소통 채널로는 △개별 기업 현장 방문 및 애로 청취(40.7%)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중소기업중앙회 등 유관단체와의 협력 강화(38.0%) △정기 현장 간담회·설명회 확대(26.7%) 순으로 조사됐다.
성태근 대구경북중소기업회장은 “지역 소기업·소상공인의 어려움이 이어지는 만큼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연결하는 민생 행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차기 대구시장과의 현장 소통이 한층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명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