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둔화와 규제 강화가 복합적 요인
내년 경영 전략은 ‘안정·긴축’ 우세, 성장 전략은 19%
대구 지역 기업의 4곳 중 3곳가량이 올해 계획한 사업 실적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나타나면서 지역 경기 회복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대구상공회의소가 443개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75.9%가 올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목표 달성 예상은 17.7%, 초과 달성은 6.4%에 불과했다. 특히 건설업에서는 ‘미달성’ 응답이 82.7%에 달해 경기 부진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줬다.
기업들의 실적 부진 원인으로는 ‘고객사 발주 감소’가 63.1%로 가장 많았고 ‘원자재·부품·물류비 상승’ 31.6%, ‘신규 거래처 발굴 부진’ 28.9%, ‘인건비 상승’ 15.0%, ‘관세 및 환율 변동 영향’ 11.8% 등이 뒤를 이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글로벌 경기 둔화와 원자재 가격 변동, 노동 및 세제 관련 규제 강화 등 복합적 요인이 겹친 결과”라고 분석했다.
내년도 경영 전망을 묻는 질문에는 ‘올해와 비슷할 것’이라는 응답이 42.2%로 가장 많았고, ‘악화될 것’은 35.7%, ‘개선될 것’은 22.1%로 나타났다. 하지만 올해 하반기 조사에서 악화 응답이 63.2%였던 것과 비교하면 ‘개선’ 응답은 11.7%에서 22.1%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나 기업 심리가 조금이나마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내년도 기업 경영에 영향을 줄 주요 리스크로는 ‘국내 소비 심리 위축 및 내수 둔화’(53.0%)를 가장 높게 꼽았으며, ‘글로벌 경기 둔화’ 30.9%, ‘원자재·에너지 가격 불안정’ 26.5%, ‘노동·세제 등 기업 규제 강화’ 24.1%가 뒤를 이었다. 투자 실적 면에서는 ‘투자 축소’가 45.4%, ‘계획 철회’ 13.7%로 과반을 차지했다. ‘계획 완료’와 ‘투자 확대’는 40.9%에 그쳤다. 특히 건설업에서는 73.0%가 투자 축소 또는 철회를 선택했다.
기업들은 향후 경영 전략으로 ‘안정 전략’(49.8%)을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긴축 전략’ 30.9%, ‘성장 전략’ 19.3% 순으로 나타났다. 규제 체감 수준은 근로시간·통상임금·산업재해 등 노동 관련 규제가 7.4점으로 가장 높았고 세제 6.8점, 환경 6.5점으로 기업 부담이 상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고용·노동정책 유연화(53.0%), 지역 경제 활성화(37.8%), 위기산업 사업 재편 지원(21.3%), 투자·R&D 인센티브 확대(20.9%)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대기업 및 공공기관 유치, 미래전략산업 육성, 청년 정착 유도, 지역 산업 디지털 전환과 AI·데이터 기반 기술혁신 지원 등도 지역 경기 회복에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구상공회의소는 24일 오후 ‘2025년도 하반기 경제동향보고회’를 열고 지역 경제 현황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보고회에는 박윤경 대구상의 회장을 비롯해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 민주원 대구지방국세청장, 윤경자 대구지방조달청장 등 기업지원 기관장과 협회·조합 단체장, 기업 대표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중소기업의 AX·DX 전환을 지원할 ‘AX·DX 종합지원 창구’ 구축 필요성과 기업 인력 부담 완화를 위한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공유했다.
박윤경 대구상의 회장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기업들이 변화와 혁신을 이어가고 있다”며 “AI·디지털 전환 등 급변하는 환경에서도 기업들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명환 기자 kmh@idaegu.com
